티빙 싸게보는법 3가지 및 월 구독 요금 비교해 보겠습니다. 통신 요금 8만원 이상 사용하고 있다면 티빙 50% 할인 또는 무료 시청 가능합니다. 티빙 연간이용권 구매 시 20% 이상 할인 가능합니다. 유독, 피클플러스 등 통해 티빙 할인 가능합니다.
티빙 싸게보는법 3가지
티빙 싸게보는법 3가지 다음과 같습니다.
- 통신사 할인 또는 제공
- 티빙 연간이용권 결제
- 유독, 피클플러스 등 OTT 구독 할인 서비스 이용

티빙 요금제 할인-통신사
점점 개악되고 있지만 티빙 통신사 요금제 할인 가능합니다. LG유플러스, KT 티빙 무료 시청 가능합니다.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. 10만원 이상 요금제 사용하고 있다면 티빙 스탠다드 요금제(13,500원 정도) 무료 제공됩니다.
| 요금제 | 유플러스 | KT |
| 75,000원 ~ | 티빙 방송 무제한 | 티빙 방송 무제한 |
| 100,000원 ~ | 티빙 스탠다드 무료 | – |
| 110,000원 ~ | 티빙 스탠다드 무료 | 티빙 스탠다드 무료 |
유플러스 기준 월 75,000원 이상 요금제 사용 시 티빙 방송 무료로 볼 수 있습니다. 오리지널 컨텐츠, 영화, KBO 야구 시청은 스탠다드 요금제 결제해야 가능합니다. 네이버멤버십 무료 제공하는 티빙 구독권 제공됩니다. 자세한 사항은 아래 포스팅 추천합니다.

KT 티빙 무료 시청 가능합니다. 월 9만원 이상 요금제 사용 시 티빙 광고형 스탠다드 요금제(월 5,500원 상당) 무료 제공됩니다. 월 11만원 이상 요금제 사용 시 티빙 스탠다드 요금제(월 13,5000원 상당) 무료 시청 가능합니다.
삼성달달카드 등 OTT 구독 월 10% 추가 할인 혜택 카드 많습니다. 이 경우 훨씬 더 저렴한 가격에 넷플릭스, 디즈니, 티빙 구독 가능합니다.
티빙 연간이용권 할인 방법
티빙 연간이용권 결제 할인 가능합니다. 프로야구 시청, 티빙 드라마, 영화 콘텐츠 등 꾸준히 구독하고 있다면 추천합니다. 25% 이상 할인 가능합니다. 티빙 요금제 및 연간이용권 할인 가격 다음과 같습니다.
| 요금제 | 월 요금 | 연간이용권 |
| 광고형 | 5,500원 | 없음 |
| 스탠다드 | 13,500원 | 117,600원 |
| 프리미엄 | 17,000원 | 148,000원 |
광고형 요금제는 연간 결제 및 할인 불가합니다. 스탠다드 요금제 연간 결제할 경우 월 9,800원에 구독 가능합니다. 27% 할인된 가격에 티빙 싸게 볼 수 있습니다.
프로필 4개에 2명 동시 시청 가능합니다. 가족 또는 지인끼리 함께 볼 경우 괜찮은 가격이라 생각됩니다.
티빙 요금제 할인 FAQ
광고형 스탠다드 요금제(월 5,500원) 및 티빙 스탠다드 요금제(월 13,500원) 최대 2명 동시 시청 가능합니다. 프로필은 4개까지 만들 수 있습니다. 티빙 프리미엄 요금제(월 17,000원) 구독 시 동시 시청 4명 가능합니다.
피클플러스 등 계정 공유 서비스 통해 월 5천원에 프리미엄 요금제 시청 가능합니다. 그 외 통신사 할인, OTT 구독 카드 할인, 연간이용권 결제 등 통해 20% ~ 30% 할인 가능합니다.
티빙 싸게보는법-OTT
유플러스에서 운영하는 유독 플랫폼 통해 티빙 구독 저렴한 가격에 가능합니다. 연간 결제 하지 않고 부담 없이 구독하고 싶을 때 추천합니다.
- 광고형 요금제 : 4,900원
- 베이직 : 9,000원
- 티빙 스탠다드 : 12,800원
- 티빙 프리미엄 : 16,000원
할인된 가격에 추가 쿠폰, 캐시백 등 혜택 제공됩니다. 프로모션 이벤트 통해 월 구독 추천합니다. 싸게 볼 수 있습니다.
티빙 OTT 쉐어
피클플러스 등 OTT 쉐어서비스 통해 티빙 싸게 볼 수 있습니다. 월 구독요금 가장 저렴하게 볼 수 있는 방법입니다.
| 요금제 | 파티장 | 파티원 |
| 프리미엄 | 4,750원 | 5,200원 |

피클플러스 등 OTT쉐어서비스는 모르는 구성원과 4인 시청가능한 계정 공유하는 플랫폼입니다. 인원 매칭, 계정 공유 등 다소 귀찮은 부분 많지만 17,000원 요금제 5천원 정도에 시청 가능합니다.
함께 시청하는 가족, 친구, 지인 등이 있어도 번거롭게 정산, 티빙 해지 등 부담 없는 장점 있습니다. 위 3가지 방법 비교해 보는 것 추천합니다.
건강보험료 관련 2가지 포스팅 추천합니다.